본문 바로가기
AI 논문/Computer Vision

[CV] LeNet-5

by cogito21_python 2024. 6. 7.
반응형

[출처]: GradientBased Learning Applied to Document Recognition

lenet5.pdf
0.96MB

 


LeNet-5 논문은 Yann LeCun 등 여러 연구자가 1998년에 발표한 논문으로, 손글씨 숫자 인식을 위한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의 아키텍처를 제안합니다. 이 논문은 합성곱 신경망을 통해 이미지 인식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제시하며, LeNet-5는 특히 손글씨 숫자 인식에서 큰 성과를 보였습니다.

주요 내용 요약

  1. 배경 및 목적: 전통적인 패턴 인식 기법은 주로 특징 추출과 분류 단계를 분리하여 수행했습니다. 하지만 LeCun 등은 자동으로 특징을 학습하고 분류하는 신경망을 제안했습니다.
  2. LeNet-5 아키텍처:
    • 입력층: 32x32 픽셀의 이미지 입력.
    • 첫 번째 합성곱 층: 5x5 필터 6개 적용, 28x28 특징 맵 생성.
    • 첫 번째 서브샘플링 층: 평균 풀링을 통해 14x14 크기로 축소.
    • 두 번째 합성곱 층: 5x5 필터 16개 적용, 10x10 특징 맵 생성.
    • 두 번째 서브샘플링 층: 다시 5x5 크기로 축소.
    • 완전 연결층: 400개의 유닛을 120개의 유닛으로 매핑.
    • 두 번째 완전 연결층: 120개의 유닛을 84개의 유닛으로 매핑.
    • 출력층: 10개의 유닛으로 최종 출력(10개의 숫자 클래스).
  3. 훈련 및 성능:
    • MNIST 데이터셋을 사용하여 훈련.
    • 손글씨 숫자 인식에서

LeNet-5 논문 요약 (한국어)

LeNet-5는 1998년에 Yann LeCun 등이 발표한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아키텍처로, 손글씨 숫자 인식을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이 논문은 특히 이미지 인식에서 합성곱 신경망의 효율성을 강조하며, 다양한 패턴 인식 문제에 대한 자동화된 학습 접근 방식을 제안합니다.

주요 내용

1. 배경 및 목표

전통적인 패턴 인식 기법은 주로 특징 추출과 분류 단계를 별도로 수행했습니다. LeCun 등은 이러한 과정을 자동화하고, 신경망을 통해 직접 픽셀 이미지에서 특징을 학습하고 분류할 수 있는 모델을 제안했습니다.

2. LeNet-5 아키텍처

LeNet-5는 총 7개의 레이어로 구성됩니다:

  • 입력층: 32x32 픽셀 이미지.
  • C1: 첫 번째 합성곱 층: 6개의 5x5 필터를 사용해 6개의 28x28 특징 맵 생성.
  • S2: 첫 번째 서브샘플링 층: 평균 풀링을 통해 14x14 특징 맵으로 축소.
  • C3: 두 번째 합성곱 층: 16개의 5x5 필터를 사용해 16개의 10x10 특징 맵 생성.
  • S4: 두 번째 서브샘플링 층: 다시 평균 풀링을 통해 5x5 크기로 축소.
  • C5: 세 번째 합성곱 층: 120개의 5x5 필터 사용.
  • F6: 완전 연결층: 84개의 유닛으로 구성.
  • 출력층: 10개의 유닛으로, 각 유닛은 10개의 숫자 클래스 중 하나를 나타냄.

3. 학습 및 성능

  • 데이터셋: MNIST 데이터셋을 사용하여 손글씨 숫자 인식 작업을 수행.
  • 훈련: 역전파(Backpropagation) 알고리즘을 사용해 학습.
  • 결과: LeNet-5는 당시 다른 모든 기법을 능가하는 성능을 보였으며, 상용화된 문서 인식 시스템에도 적용되어 높은 정확도를 달성했습니다.

논문의 기여와 영향

LeNet-5는 현대 딥러닝 모델의 기초를 마련한 중요한 연구로, 합성곱 신경망이 이미지 인식에 매우 효과적임을 증명했습니다. 이 연구는 이후 딥러닝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CNN이 널리 사용되도록 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원문 논문을 참고하세요.


Summary of the LeNet-5 Paper

LeNet-5 is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architecture proposed by Yann LeCun and his colleagues in 1998, specifically designed for handwritten digit recognition. This paper outlines the effectiveness of CNNs in image recognition tasks and introduces LeNet-5 as a robust solution for such problems.

Main Points

1. Background and Objectives

Traditional pattern recognition methods relied heavily on manual feature extraction and separate classification steps. LeCun et al. aimed to automate this process by designing a neural network capable of learning features directly from pixel images and classifying them.

2. LeNet-5 Architecture

LeNet-5 consists of 7 layers, not including the input:

  • Input Layer: Accepts 32x32 pixel images.
  • C1: First Convolutional Layer: Uses six 5x5 filters to create six 28x28 feature maps.
  • S2: First Subsampling Layer: Applies average pooling, reducing the size to 14x14.
  • C3: Second Convolutional Layer: Uses sixteen 5x5 filters to produce sixteen 10x10 feature maps.
  • S4: Second Subsampling Layer: Further reduces the size to 5x5.
  • C5: Third Convolutional Layer: Applies 120 5x5 filters.
  • F6: Fully Connected Layer: Contains 84 units.
  • Output Layer: Comprises 10 units, each corresponding to one of the digit classes.

3. Training and Performance

  • Dataset: The MNIST dataset, which contains handwritten digit images, was used for training.
  • Training Method: The network was trained using the backpropagation algorithm.
  • Results: LeNet-5 outperformed all other methods tested at the time and demonstrated high accuracy in handwritten digit recognition. The architecture was also deployed in commercial applications, such as check reading systems, proving its practical utility.

Contributions and Impact

LeNet-5 laid the foundation for modern deep learning models. It demonstrated the power of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in image recognition tasks and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subsequent models like AlexNet and ResNet. The approach of automatically learning features from raw pixel data without manual feature extraction represented a significant advancement in the field of machine learning.

For more details, refer to the original paper.


반응형

'AI 논문 > Computer Vis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CV] GoogleNet  (0) 2024.06.07
[CV] AlexNet  (0) 2024.06.07
[CV] YOLO v8  (0) 2024.05.23
[CV] YOLO v7  (0) 2024.05.23
[CV] YOLO v6  (0) 2024.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