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업무 방법론] NVIDIA 기업 문화 Index 1. 구성원의 의견을 경청하는 문화 2. 높은 몰입도 3. 기업문화 Reference 1. 엔비디아 문화 엔비디아 문화 중장기 관점의 전략적 사고 - 단기 성과보다는 장기적 업적을 중시 - 임원급을 외부에서 데려올 경우 '중장기 관점의 전략적 사고'를 살핌. - 장기 전략을 공유할 수 있는 사람을 뽑고 실패하도라도 과정에 문제가 없다면 다시 기회를 줌. 1~2년 단기 계약은 하지 않음. 보상 제도 - 매년 연봉의 10%~20%를 추가로 주식으로 보상하는 제도가 있어 회사가 성장해 주가가 오르면 임원의 자산도 증가. 부서 이기주의 찰피 - 회사가 중장기 성장 전략을 기반으로 운영되어 개인의 팀 이동도 다른 회사보다 어렵지 않음. - 팀원이 부서 이동시 최대한 도와주는 것이 CEO 지시 - 부서 .. 2024. 1. 20.
[업무 방법론] 문서 작성법 Index 1. 인수인계서 2. 업무일지 3. 기안서/상신서 4. 회의록 5. 품의서 6. 업무메일 7. 사업제안서 Reference 1. 인수인계서 인계서 - 직원이 장기간 자리를 비우거나 부서 이동시 작성 - 새로운 업무를 받는 사원 또한 인수인계서를 작성해야함. - 인수인계는 업무 교육 메뉴얼을 참고하여 작성. 포인트 - 조직 및 인원 현황, 조직 내 개인별 담당 업무의 내용을 항목별로 정리 - 현재 업무 진행상황 및 계획 업무를 간략하게 작성 - 주요 업무 처리 방법 및 절차를 깔끔한 문장으로 정리 - 예산 및 집행 실적, 거래처 연락처, 거래처와 협의 내용을 짧게 정리. 2. 업무 일지 업무일지 - 업무의 진행 속도, 효율, 미처리 업무의 유무를 한눈에 파악 가능 - 업무일지를 통해 나만의 규칙.. 2024. 1. 20.
[업무 방법론] 진행자/리더 유형 Index 1. 리더 유형 2. 멍청하지만 부지런한 리더 3. 멍청하고 게으른 리더 4. 똑똑하고 부지런한 리더 5. 똑똑하지만 게으른 리더 6. 피해야할 리더 Reference 1. 리더 유형 리더 유형 - 팀프로젝트 운영에 있어 리더도 해당 되는 유형이라고 생각. 1. 멍청하지만 부지런한 리더 2. 멍청하고 게으른 리더 3. 똑똑하고 부지런한 리더 4. 똑똑하지만 게으른 리더 2. 멍청하지만 부지런한 리더 멍청한 부지런한 리더 (특징) 1) 비효율적인 보고서(작업량)를 생산. 2) 불필요한 업무를 많이 시킴. 3) 항상 바쁘며 일찍 출근하고 늦게 퇴근.(=시간 관리가 안됨. 핵심 파악이 안됨. 일을 행하는 것 자체에 가치를 가짐.) 4) 생각은 하지 않고 몸만 사용.(=지혜가 없음) 5) 의견을 주지.. 2024. 1. 20.
[업무 방법론] 협업 도구 절대적인 정답이 아닌 방법중 하나입니다. 참고하여 본인들의 상황에 맞게 수정해서 사용하세요 Index 1. 협업 도구 2. Word 3. Google Docs 4. PowerPoint 5. Google Slides 6. Excel 7. Google SpreadSheet 8. Notion 9. Zoom 10. Discord Reference 1. 협업 도구 협업 도구 (문서) - 서류 형식으로 문서화를 하는데 필요한 도구 - Word, Google Docs (수치 정리) - 여러 수치 정리 및 그래프를 이용해 정리하기 위한 도구 - Excel, Google Sheets (발표 양식) - 발표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도구 - PowerPoint, Google Slides (복합 도구) - 여러가지 복합적인.. 2024. 1. 20.
[업무 방법론] 회의 방식 절대적인 정답이 아닌 방법중 하나입니다. 참고하여 본인들의 상황에 맞게 수정해서 사용하세요. Index 1. 회의 방식 2. Google 회의 방식 3. Tesla 회의 방식 4. Amazon 회의 방식 5. Apple 회의 방식 6. Pixar 회의 방식 Reference 1. 회의 방식 회의 방식 - 회의는 나쁜 조직의 징후이다. 회의는 적을수록 좋다. - 피터드러커 - 분야별, 상황별 회의의 방식을 달라져야 함. - 회의가 왜 필요한지, 누구를 대상으로 하고 어떤 기대효과를 기대하는지 정해야함. - 이를 정하지 않으면 회의 주관자는 자신이 "수많은 회의와 의견조율을 통해 결론을 도출해내는 소통하는 리더"라는 착각에 빠지게 됨. 그리고 이러한 착각은 더 확고해져서 자신이 무의미한 회의를 하고 있다는 .. 2024. 1.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