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TC/업무 방법론

[업무 방법론] 진행자/리더 유형

by cogito21_python 2024. 1. 20.
반응형
 Index
 1. 리더 유형
 2. 멍청하지만 부지런한 리더
 3. 멍청하고 게으른 리더
 4. 똑똑하고 부지런한 리더
 5. 똑똑하지만 게으른 리더
 6. 피해야할 리더
Reference

1. 리더 유형

리더 유형

- 팀프로젝트 운영에 있어 리더도 해당 되는 유형이라고 생각.

 

1. 멍청하지만 부지런한 리더

2. 멍청하고 게으른 리더

3. 똑똑하고 부지런한 리더

4. 똑똑하지만 게으른 리더

 

2. 멍청하지만 부지런한 리더

멍청한 부지런한 리더

(특징)

1) 비효율적인 보고서(작업량)를 생산.

2) 불필요한 업무를 많이 시킴.

3) 항상 바쁘며 일찍 출근하고 늦게 퇴근.(=시간 관리가 안됨. 핵심 파악이 안됨. 일을 행하는 것 자체에 가치를 가짐.)

4) 생각은 하지 않고 몸만 사용.(=지혜가 없음)

5) 의견을 주지는 않고 의견을 묻고만 있음.(= 본인의 의견이 없음)

6) 바쁘기 때문에 조급하여 팀원들에게 정보 공유할 내용을 놓침.(=의사소통이 안됨)

7) 인격적으로는 문제가 없지만 주변 사람들이 같이 일하고 싶지 않아함.

=> 일을 못하면서 말과 글, 미팅도 많음. 생명력보다 열심히하고 많이 하고 열심을 드러내는 것에 만족감을 느낌. 같이 일하는 사람들이 힘듬.

=> 항상 바쁜 것은 문제. 시간 관리가 안되는 것. 우선순위가 없고 핵심을 파악하지 못함. 그래서 많은 양의 일로 처리. 

=> 성과는 높게 나오는것 처럼 보이지만 유능한 사람들이 같이 일하기를 싫어함.

=> 많은 일을 한 것으로 능력을 인정받는다고 착각.

=> "생각하지 않는다는 건 지혜가 없다는 말과 같다"

- 지식은 information의 집합체, 지혜는 활용하여 본인과 남의 삶을 바꾸어주는 가치를 환산함. 좋은 대학과 지혜는 다름. 좋은 대학은 지식과 연관되는 것. 

=> 고속 성장 시대에는 어느정도 먹혔음. 생산성에 대한 연구가 없었기 때문. 정해진 산업의 영향도 존재.

=> 의사소통 문제의 핵심은 정보의 누락과 경우에 따라 정보의 왜곡도 생김.

 

=> 실력 있는 리더는 본인의 실수를 인정하고 피드백함.(해당 상황도 고려하지 못한 본인을 되돌아봄)

=> 똑똑한데 게으른 상사는 변경할 것과 기준에 대한 제시를 해줌. 문제 발생시 기존 작업을 취소하고 방향성을 빠르게 수정.

 

(함께 일하는 팀원의 특징)

- 회사내에서 인정받지 못한다고 생각.

- 자꾸 비난을 받음.

- 업무 분담과 프로세스가 엉망.

 

 

3.  멍청하고 게으른 리더

멍청하고 게으른 리더

(특징)

1) 모든 걸 본인 기준으로 제안.(=강요하는 문제)

2) 스스로를 똑똑하다고 착각.

3) 주변의 조언을 무시(=동일한 피드백 반복) -> 성장의 한계에 마주칠 수 있음.

4) 업무에 기준이 없고 자기 말만 맞다고 함.

5) 업무 성과가 없음.

6) 시야가 좁고 우선순위를 정하지 못해 어떤 일을 해야하는지 모름.

7) 성장하는 팀원의 의욕을 꺾는 경우가 있음.

8) 일에 대한 열정이 없음.

=> 그냥 본인의 방식대로 진행하면 됨.

=> 과연 본인이 맞는지 Zero Base 사고를 할 필요가 존재. 다른 사람에게 배우면서 따르는 것이 필요.

=> 전체 프로세스가 100개라면 그중 중요한건 10개 정도인데 핵심적인 것에 집중이 아닌 모든 것을 균등 분배함. 핵심을 놓치는 경우가 많음.

=> 이런 사람과 일을 하고 있다면 조직/고객이 요청하는 일에 집중해라. 본인의 길을 가라 -> 정상 조직이라면 해당 리더를 변경할 것임.

=> 피터의 법칙: 조직 내에서 모든 구성원은 무능이 드러날 때까지 승진하려 하는 경향이 있음.

=> 회사에서 이런 사람(사내정치로 승진)을 인정한다면 퇴사를 고려해야함.

 

(함께 일하는 팀원의 특징)

- 심리 상태가 가장 불안함.

- 상사가 제대로 처리하지 않은 업무 때문에 어디서 문제가 생길지, 어디서 연락이 올지 불안함.

- 상사 꼬라지 보면 열받음. 업무분장이 안되서 혼자 상사 뒤치닥거리.

- 항상 모든걸 알아서 처리해야하며 물어볼 사람이 없어서 답답.

 

=> 이런 리더와 일을 하고 있다면 주체적인 의사결정과 가이드라인을 잡을 것

 

 

4. 똑똑하고 부지런한 리더

똑똑하고 부지런한 리더

(특징)

1) 진짜로 필요한 문제 인식. 해결하는 것이 목표.

2)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

3) 전체적인 프로세스를 파악하고 있음.(=시야가 넓음) -> 핵심 요소를 분석해서 해당 부분에 집중

4) 많은 일을 처리하고 목표를 달성.

5) 마이크로 매니지먼트를 할 수 있음.(=업무에 개입)

6) 문제에 대해서 책임을 짐.(=일을 맡긴 본인의 책임)

=> 갓 승진을 한 젊은 리더쉽일 경우 발생.

=> 성격이 강한 경우(=연륜이 없음)는 시간이 지나면 멍청한 게으른 상사로 변함. 

=> 방목하여 성장한 사람을 데려가는 것이 더 좋음.

=> 이런 리더와 일을 하고 있다면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맞이할 수 있음.

 

 

(함께 일하는 팀원의 특징)

- 리더십에 대한 만족도가 높음.

- 본인의 생각에 옳고 그름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 제시. 본인이 생각하지 못한것에 대한 열린 태도

- 부하직원의 고민까지 솔루션을 제시해 줌.

- 방향을 잘 설명하고 인간적으로 대우

 

 

5. 똑똑하지만 게으른 리더

똑똑하지만 게으른 리더

(특징)

1) 항상 생각이 많음. 생각을 잘하기 위해서 직원들과 대화.

2) 생각하지 못했던 관점을 제시

3) 주로 직원들에게 업무를 지시하며 본인은 행동하는게 별로 없음.(=핵심을 짚어서 업무 지시)

4) 부하직원이 하는 일에 관여하지 않음.(=일을 편하게 하기 위함. 명확한 기준을 줌.)

5) 기획에 많은 시간을 씀.

6) 똑똑하고 게으른 직원과 일을 하려고 함.

7) 에너지를 사용할 경우 철처하게 기획과 전략, 방향성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기 때문에 말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엉뚱하게 이해하는 사람과는 많은 시간을 사용하지 않음. -> 이야기를 해도 정리가 안되는데 시간을 소비하면 안됨.

=> 리더가 시켰을 떄 성과가 나는지 보면서 판단. 성과가 난다면 생각을 많이 한다는 의미.

=> 의도와 전략이 있어 실패하더라도 전략을 고수함. 생각하면서 피드백함.

=> 이런 리더와 일을 한다면 리더가 시킨 일은 무조건 함. 이후 업무하면서 느낀 보완점을 제시

 

(함께 일하는 팀원의 특징)

- 회사내에서 인정 받는다고 생각

- 본인이 아니면 안되는 업무가 있음

- 본인의 의견을 물어봐줌.

 

6. 피해야할 리더

피해야할 리더

1) 술, 정치질, 따돌림, 뒷담화가 보편적인 회사

2) 업무도 없고 사수도 없음.

=> 극단적인 소통으로 얻을 수 있는 것은 없음.

=> 상대방이 실력과 권력자라고 하더라도 조종하려는 사람이면 떠나는 것이 답.

=> 통제와 조종은 다른 것. 통제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더 좋은 결과를 위해 조건을 갖추어 가는 것. 조종은 본인은 드러나지 않고 뒤에서 실무 권한이 있는 사람을 마치 자신의 의도대로 움직이게 만들어 내는 것.

=> 조종당하는 사람들은 시간이 지날수록 생각없는 사람으로 바뀌게 되니 장기적으로 봤을 때는 안 좋아짐.

 


Reference

[Video: 퇴사한 이형(1.멍청하지만 부지런한 상사)]
https://www.youtube.com/watch?v=BQx6wYFS3qA&list=RDCMUCPzUihJpaxqgux4ihCx983A&start_radio=1
[Video: 퇴사한 이형(2.멍청하고 게으른 상사)]
https://www.youtube.com/watch?v=9KO6TiO2liA&list=RDCMUCPzUihJpaxqgux4ihCx983A&index=5
[Video: 퇴사한 이형(3.똑똑하고 부지런한 상사)]
https://www.youtube.com/watch?v=pankbnzvqyg
[Video: 퇴사한 이형(4.똑똑하지만 게으른 상사)]
https://www.youtube.com/watch?v=KIGtKYoM7Xo
[Video: 퇴사한 이형(이런 상사와 일하면 당장 퇴사하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OtH4v8vljMg&list=RDCMUCPzUihJpaxqgux4ihCx983A&index=7
[Video: 퇴사한 이형(회사에서 인생 망가지는 과정)]
https://www.youtube.com/watch?v=yQlVZ6hlQvg
반응형

'ETC > 업무 방법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업무 방법론] NVIDIA 기업 문화  (0) 2024.01.20
[업무 방법론] 문서 작성법  (0) 2024.01.20
[업무 방법론] 협업 도구  (0) 2024.01.20
[업무 방법론] 회의 방식  (0) 2024.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