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료구조] Week 5: 해시 테이블 Day 1: 해시 테이블의 기본 개념강의 내용:해시 테이블의 정의와 특징해시 테이블의 개념과 용도키-값 쌍 저장 구조해시 함수해시 함수의 역할과 중요성좋은 해시 함수의 조건실습:기본 해시 테이블의 개념 설명 및 예제# 해시 테이블의 기본 개념 설명# 해시 테이블은 키-값 쌍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료구조# 키를 해시 함수에 입력하여 해시 값을 생성하고, 이 해시 값을 이용하여 값을 저장하거나 검색# 파이썬 딕셔너리를 사용한 간단한 해시 테이블 예제hash_table = {}hash_table["apple"] = 1hash_table["banana"] = 2hash_table["cherry"] = 3print("해시 테이블:", hash_table)print("키 'banana'의 값:", hash_tab.. 2024. 6. 1.
[자료구조] Week 4: 우선순위 큐와 힙 Day 1: 우선순위 큐의 기본 개념강의 내용:우선순위 큐의 정의와 특징우선순위 큐의 개념과 용도우선순위 큐와 일반 큐의 차이점우선순위 큐의 주요 연산insert, delete_min (또는 delete_max)실습:기본 우선순위 큐 구현 예제# 리스트를 사용한 간단한 우선순위 큐 구현class PriorityQueue: def __init__(self): self.queue = [] def insert(self, item): self.queue.append(item) self.queue.sort() # 오름차순 정렬 (최소 우선순위 큐) def delete_min(self): if not self.is_empty(): .. 2024. 6. 1.
[자료구조] Week 3: 스택과 큐 Day 1: 스택의 기본 개념강의 내용:스택의 정의와 특징스택의 개념과 용도후입선출(LIFO) 원리스택의 주요 연산push, pop, peek, is_empty실습:리스트를 이용한 스택 구현# 리스트를 사용한 스택 구현class Stack: def __init__(self): self.stack = [] def push(self, item): self.stack.append(item) def pop(self): if not self.is_empty(): return self.stack.pop() return None def peek(self): if not self.is_empty(): .. 2024. 6. 1.
[자료구조] Week 2: 연결 리스트 Day 1: 연결 리스트의 개요강의 내용:연결 리스트의 정의와 특징연결 리스트의 개념과 필요성배열과 연결 리스트의 비교연결 리스트의 종류단일 연결 리스트이중 연결 리스트원형 연결 리스트실습:연결 리스트의 개념을 설명하는 예제# 연결 리스트의 기본 개념 설명# 배열과 연결 리스트 비교# 배열: 요소가 연속된 메모리 위치에 저장됨# 연결 리스트: 요소가 노드로 저장되고, 각 노드는 다음 노드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가짐 Day 2: 단일 연결 리스트강의 내용:단일 연결 리스트의 구조노드의 정의단일 연결 리스트의 구성단일 연결 리스트의 기본 연산노드 삽입, 삭제, 검색실습:단일 연결 리스트를 구현하는 예제# 단일 연결 리스트의 노드 정의class Node: def __init__(self, data): .. 2024. 6. 1.
[자료구조] Week 1: 자료구조 개요 및 배열 Day 1: 자료구조의 개요강의 내용:자료구조의 정의와 중요성자료구조의 개념자료구조가 필요한 이유자료구조의 종류선형 자료구조 vs 비선형 자료구조배열, 리스트, 스택, 큐, 트리, 그래프 등실습:다양한 자료구조의 예시와 활용 사례 설명# 자료구조의 예시# 리스트, 스택, 큐, 트리, 그래프 등 설명# 리스트 예시my_list = [1, 2, 3, 4, 5]print("리스트:", my_list)# 스택 예시 (리스트를 사용한 간단한 스택)stack = []stack.append(1)stack.append(2)stack.append(3)print("스택:", stack)stack.pop()print("스택 (pop):", stack)# 큐 예시 (리스트를 사용한 간단한 큐)from collections i.. 2024. 6. 1.
[Python] Week 23-24: 최종 프로젝트 Day 1: 프로젝트 주제 선정 및 계획 수립강의 내용:프로젝트 주제 선정팀별 또는 개인별 프로젝트 주제 선정프로젝트 주제 발표 및 논의프로젝트 계획 수립프로젝트 목표 설정주요 기능 및 요구사항 정의개발 일정 및 마일스톤 설정실습:프로젝트 주제 선정 및 계획 수립# 프로젝트 주제 예제# 1. 블로그 플랫폼# 2. 온라인 상점# 3. 채팅 애플리케이션# 4. 도서 관리 시스템# 5. 데이터 분석 도구# 팀 또는 개인별로 프로젝트 주제를 선정하고 목표 설정project = { "title": "Online Shop", "goal": "Build an e-commerce platform where users can browse, search, and purchase products.", "fe.. 2024. 6. 1.
[Python] Week 22: 고급 문법 - 데코레이터 Day 1: 데코레이터의 기본 개념강의 내용:데코레이터의 정의와 필요성데코레이터의 개념과 장점함수와 메서드에 공통 기능 추가기본 데코레이터 작성데코레이터 함수 정의@ 기호를 사용한 데코레이터 적용실습:기본 데코레이터 작성 및 사용 예제# 기본 데코레이터 함수 정의def my_decorator(func): def wrapper(): print("Something is happening before the function is called.") func() print("Something is happening after the function is called.") return wrapper# 데코레이터 적용@my_decoratordef say_hello():.. 2024. 6. 1.
[Python] Week 21: 고급 문법 - 이터레이터와 제너레이터 Day 1: 이터레이터의 기본 개념강의 내용:이터레이터의 정의와 필요성이터레이터의 개념과 장점이터레이터 프로토콜이터레이터의 동작 방식__iter__() 메서드와 __next__() 메서드실습:기본 이터레이터 작성 및 사용 예제# 이터레이터 클래스 정의class MyIterator: def __init__(self, limit): self.limit = limit self.counter = 0 def __iter__(self): return self def __next__(self): if self.counter  Day 2: 내장 이터레이터강의 내용:파이썬 내장 이터레이터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등의 내장 이터레이터이터레이터 함수iter(.. 2024. 6. 1.
[Python] Week 20: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 다형성 Day 1: 다형성의 기본 개념강의 내용:다형성의 정의와 필요성다형성의 개념과 장점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다형성의 역할다형성의 구현메서드 오버라이딩을 통한 다형성다양한 객체의 동일한 인터페이스실습:기본 다형성 예제 작성# 부모 클래스 정의class Animal: def speak(self): pass# 자식 클래스 정의class Dog(Animal): def speak(self): return "Woof!"class Cat(Animal): def speak(self): return "Meow!"# 객체 생성 및 사용animals = [Dog(), Cat()]for animal in animals: print(animal.speak()) # 'W.. 2024. 6. 1.
[Python] Week 19: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 상속 Day 1: 상속의 기본 개념강의 내용:상속의 정의와 필요성상속의 개념과 장점코드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 향상기본 상속 구조부모 클래스와 자식 클래스기본 상속 문법실습:기본 상속 예제 작성# 부모 클래스 정의class Animal: def __init__(self, name): self.name = name def speak(self): pass# 자식 클래스 정의class Dog(Animal): def speak(self): return f"{self.name} says Woof!"class Cat(Animal): def speak(self): return f"{self.name} says Meow!"# 객체 생성 및 사용dog = .. 2024. 6.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