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부 대학원에 갈 것인가 말 것인가
(1장 대학원 진학 때 고려할 것들)
- 당신은 공부를 잘하는가, 공부를 좋아하는가
- 대학원의 중요한 파트너, 지도교수
- 최선의 조건을 고를 권리
- 지도교수 이외의 요소들
- 박사까지 꼭 해야 하나요?
(2장 대학원 입학 원서 쓰기)
- 학업 계획서부터 시작한다
- 키워드를 뽑고 스토리를 만들라
- 초안을 빨리 시작하자
- 경력: 지적 활동, 지적인 경험을 쓰자
- 지원 동기: 궁금증을 유발하라
- 연구 계획
- 학업 후 계획
- 학업 계획서는 면접의 도구이기도 하다
- 누가 이 글을 좀 읽어 줄 수 없을까
(3장 교수에게 상담 이메일 쓰기)
- 왜 이메일인가?
- 이메일 제목
- 본문의 시작: 인사말과 자기소개
- 용건: 면담을 성사시켜라!
- 간결하고 예의 바른 마무리
- 첨부: 이력서의 첨부 여부
2부 대학원 생활, 만만히 보지 말라
(1장 지도교수 만나기 전략)
- 학사 일정을 스스로 챙겨라
- 공들인 한 장의 문서
- "저 어떡해요?"라고 질문하지 말라
- 좋은 관계를 만들어 갈 책임
(2장 좋은 연구자로 성장하기 위한 공부하기 전략)
- 공부는 혼자 한다
- 공부는 같이 한다
- 논문 잘 읽고 요약하기
- 영어: 박사 연구원 취직할 때 영어 점수 들고 가라고?
(3장 대학원생의 사생활)
- 대학원 생활의 조각난 시간 관리
- 대학원 동료는 어디에 쓰나요?
3부 학위논문, 쓰고야 만다
(1장 워밍업: 학위논문은 라이선스 취득을 위한 시험)
- 논문: 학위논문과 학술논문의 차이점
- 학위논문 지침은 논문 쓰기 설명서
- 학사 일정: 자기 스케줄은 자기가 챙겨야 한다
(2장 본 게임: 학위논문 작성하기)
- 연구 주제 정하기, 키워드로 연구 질문 만들기
- 기획: 연구방법 정하기와 목차 구성하기
- 자료의 수집, 처리, 분석
- 집필
(3장 마케팅: 발표 준비하기)
- 촬영과 녹음을 통해서 발표를 연습한다.
- 사람들 앞에서 예행연습을 한다
- 예상되는 질문에 대한 대답을 준비하라
- 발표문의 첫 1분은 토씨 하나 빼놓지 말고 완벽하게 외운다
- 현장에서 있었던 상황을 완벽하게 복기한다
(4장 마지막 관문: 논문 심사)
- 논문 심사란 구술시험이다
- 간단한 논문 소개를 준비하라
- 심사 위원을 파악하라
- '예스'만이 능사가 아니다
- 수정 대차대조표를 작성하라
4부 박사를 받아도 끝이 아니다
1장 박사학위를 받으면 벌어질 일들
2장 면접에서 살아남기
'글쓰기 > 논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문] 대학원에서 살아남는 레시피 - 4부 (1) | 2025.02.28 |
---|---|
[논문] 대학원에서 살아남는 레시피 - 3부 (1) | 2025.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