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글쓰기/논문

[논문] 대학원에서 살아남는 레시피 - 목차

by huginn30 2025. 2. 28.
반응형

1부 대학원에 갈 것인가 말 것인가

(1장 대학원 진학 때 고려할 것들)

- 당신은 공부를 잘하는가, 공부를 좋아하는가

- 대학원의 중요한  파트너, 지도교수

- 최선의 조건을 고를 권리

- 지도교수 이외의 요소들

- 박사까지 꼭 해야 하나요?

 

(2장 대학원 입학 원서 쓰기)

- 학업 계획서부터 시작한다

- 키워드를 뽑고 스토리를 만들라

- 초안을 빨리 시작하자

- 경력: 지적 활동, 지적인 경험을 쓰자

- 지원 동기: 궁금증을 유발하라

- 연구 계획

- 학업 후 계획

- 학업 계획서는 면접의 도구이기도 하다

- 누가 이 글을 좀 읽어 줄 수 없을까

 

(3장 교수에게 상담 이메일 쓰기)

- 왜 이메일인가?

- 이메일 제목

- 본문의 시작: 인사말과 자기소개

- 용건: 면담을 성사시켜라!

- 간결하고 예의 바른 마무리

- 첨부: 이력서의 첨부 여부

2부 대학원 생활, 만만히 보지 말라

(1장 지도교수 만나기 전략)

- 학사 일정을 스스로 챙겨라

- 공들인 한 장의 문서

- "저 어떡해요?"라고 질문하지 말라

- 좋은 관계를 만들어 갈 책임

 

(2장 좋은 연구자로 성장하기 위한 공부하기 전략)

- 공부는 혼자 한다

- 공부는 같이 한다

- 논문 잘 읽고 요약하기

- 영어: 박사 연구원 취직할 때 영어 점수 들고 가라고?

 

(3장 대학원생의 사생활)

- 대학원 생활의 조각난 시간 관리

- 대학원 동료는 어디에 쓰나요?

 

3부 학위논문, 쓰고야 만다

(1장 워밍업: 학위논문은 라이선스 취득을 위한 시험)

- 논문: 학위논문과 학술논문의 차이점

- 학위논문 지침은 논문 쓰기 설명서

- 학사 일정: 자기 스케줄은 자기가 챙겨야 한다

 

(2장 본 게임: 학위논문 작성하기)

- 연구 주제 정하기, 키워드로 연구 질문 만들기

- 기획: 연구방법 정하기와 목차 구성하기

- 자료의 수집, 처리, 분석

- 집필

 

(3장 마케팅: 발표 준비하기)

- 촬영과 녹음을 통해서 발표를 연습한다.

- 사람들 앞에서 예행연습을 한다

- 예상되는 질문에 대한 대답을 준비하라

- 발표문의 첫 1분은 토씨 하나 빼놓지 말고 완벽하게 외운다

- 현장에서 있었던 상황을 완벽하게 복기한다

 

(4장 마지막 관문: 논문 심사)

- 논문 심사란 구술시험이다

- 간단한 논문 소개를 준비하라

- 심사 위원을 파악하라

- '예스'만이 능사가 아니다

- 수정 대차대조표를 작성하라

 

4부 박사를 받아도 끝이 아니다

1장 박사학위를 받으면 벌어질 일들

2장 면접에서 살아남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