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TC/기획

[기획] 기획 및 설계서

by cogito21_python 2024. 1. 20.
반응형
 Index
 1. 비즈니스 기획, 서비스 기획
 2. 요구사항 명세서
 3. 화면흐름도와 IA
 4. 화면설계서와 기능명세서
Reference

1. 비즈니스 기획, 서비스 기획

비즈니스 기획

- 비즈니스 기획은 어떠한 대상에게 / 무엇을 / 왜 제공하고 수익을 어떻게 창출할 것인지 모델ㅇ르 세우는 것

- 비즈니스의 핵심 경쟁력, 최종 소비자에게 줄 수 있는 가치는 무엇인지 고민하고, 이것이 실제 서비스로 실현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 검토

- 주요 도구: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시장 조사, 타겟층 분석, 설문조사, 인터뷰

 

 

서비스 기획

- 서비스 기획은 이렇게 만들어진 비즈니스 모델을 바탕으로, 사용자가 어떻게 우리의 비즈니스 모델을 만나게 할 것이니지, 그들에게 무엇을 경험하게 할 것인지 설계하는 일

- 기획자는 비즈니스를 이해하고 좋은 사용자 경험을 설계하는 것이 서비스 기획의 핵심

- 서비스 기획자는 실존하지 않는 서비스를 가시적으로 만드는 임무 수행. 비즈니스 전략을 토대로 사용자의 서비스 정책과 프로세스를 수립하고, 요구사항을 선별하여 구현하는 역할.

- 주요 도구: Persona, User Scenario, Requirements Specification, Screen Flowchart, Wireframe, Functional Specification

 

2. 요구사항 명세서

요구사항 명세서(Requirements Specification)

- 요구사항 명세서는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명확하고 완전하게 기록하는 것

- 소프트웨어 시스템이 수행해야 할 모든 기능과 구현상의 제약 조건에 대해 개발자와 관련자가 합의한 스펙에 대한 사항을 명세

- 작성한 명세서를 토대로 회의가 진행(실제 필요한 기능인지, 개발 이슈는 없는지, 어던 버전에서 개발하는 것이 좋은지)

- 작성 이유: 프로젝트 전체 규모를 파악 / 구현 가능 여부에 대한 논의 / 커뮤니케이션 비용 절약 / 프로젝트 일정 계획 수립

 

(기재 사항 및 예시)

 

(요구사항 명세서가 가진 특징)

- 요구사항 명세서를 읽는 작업자(개발자, 디자이너)가 이해하기 쉬워야함.

- 무엇을 어떻게 구현되어야 하는지 명확하게 작성

- 하나의 요구사항에는 하나만 작성, 중복 작성 X

- 애매한 용어가 아닌 명확한 용어를 사용

- 중요한 요구사항은 표시

- 동일한 용어를 사용

- 난이도가 있거나 프로젝트 기간이 짧아 모든 요구사항을 구현하기 어려울 상황일 경우, 대체 가능한 다른 방법도 함께 기술

 

3.  화면흐름도와 IA

화면흐름도(Screen Flow Chart)

- 화면, 기능 단위로 사용 동선을 설계

- 스타트업 규모에서 작성 용이

- 도식화되어 이해가 편리함. 화살표 하나로 화면 이동을 쉽게 표현

- 프로젝트 일정, 파트별 진행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프로젝트 일정표 문서를 별도로 작성

- 화면흐름도는 화면/기능 단위로 사용 동선 흐름대로 도식화하는 문서. 화살표를 따라가면 사용자가 어떤 프로세스로 이용하는지 확인

- draw.io로 작성

 

(화면 흐름도 예시 및 기재 항목)

IA(Information Architecture)

- 메뉴를 분류/그룹화하여 Depth 구조로 설계

- 대기업 규모의 프로젝트 작성시 용이

- 프로젝트 일정, 파트별 진행 여부를 동시에 관리

- 트리구조이기 때문에 1개의 메뉴 밑에 존속되게 표현되어 설명이 제한적

- 정보 구조 설계하는 문서로 웹의 사이트맵, 메뉴 구조도와 유사.

- 각 파트별 진행 상황 공유 및 프로젝트 일정을 동시에 관리

 

(IA 예시 및 기재 사항)

 

4. 화면설계서와 기능명세서

화면설계서

- 선으로 이루어진 화면 구조를 표현하는 문서. 화면을 도식화하기 때문에 시각적인 이해도가 높음.

- 기초적인 골격을 통해 만들고자하는 결과물이 어떤 모습을 할 것인지 예상해 볼 수 있는 문서.

- 텍스트, 선, 버튼으로 구성되며 요구사항명세서에 작성된 기능을 시각적으로 배치

- 제품이나 서비스의 모든 부분을 흑백으로 그림 개념도 혹은 그림

 

(담겨야할 내용)

- 화면에 보여지는 정보 / 보여지는 레이아웃 / 세부사항 / 어느부분과 이어지며 어디로 이어져야하는지 / 네비게이션은 적절히 기능하는지

1) 버전 관리

2) 화면: 버전과 작성일은 파일명, 표지에만 거론, 화면 코드를 부여하여 빠른 탐색

 

- 화면설계서 작성 범위: 고객뿐만 아니라 관리자도 함게 고려(고객 화면, 관리자 화면)

- 화면설계서 작성 프로그램: PPT, Power Mockup, PDF

- 우선 그리고 사용자의 사용흐름을 상상하여 수정.

- 검증시 빠진 기능은 없는지, 개선할 부분은 없는지, 사용자 흐름이 맞는지에 대한 검증.

 

기능명세서

- 구현해야하는 기능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는 문서

- 해당 기능이 어떻게 작동해야하고, 작동이 되지 않았을 때는 어떻게 처리(에러)해줘야하는지에 대한 상태를 기재

- 기능 명세서 항목: 무엇을 / 어떻게 만드는지 정의

- 화면설계서의 우측에 기능명세서를 하고 별도 작성시 Excel을 사용

 

 

 


Reference

[Blog: brunchstory(한 번쯤 들어봤던 화면설계 & 프로토타이핑 툴 총정리)]
https://brunch.co.kr/@cysstory/103
[Blog: Medium(화면설계서와 기능명세서)]
https://mklab-co.medium.com/%EC%9E%91%EC%84%B1%EB%B2%95-%ED%99%94%EB%A9%B4%EC%84%A4%EA%B3%84%EC%84%9C-wireframe-%EC%99%80-%EA%B8%B0%EB%8A%A5%EB%AA%85%EC%84%B8%EC%84%9C-functional-specification-bbcff0071ea2
[Blog: Medium(화면흐름도와 IA)]
https://mklab-co.medium.com/%EC%9E%91%EC%84%B1%EB%B2%95-%ED%99%94%EB%A9%B4%ED%9D%90%EB%A6%84%EB%8F%84-screen-flow-chart-%EC%99%80-ia-information-architecture-2a3facc3bf96
[Blog: Medium(요구사항 명세서)]
https://mklab-co.medium.com/%EC%9E%91%EC%84%B1%EB%B2%95-%EC%9A%94%EA%B5%AC%EC%82%AC%ED%95%AD-%EB%AA%85%EC%84%B8%EC%84%9C-requirements-specification-ad3533d6d5b8
[Blog: Medium(비즈니스 기획, 서비스 기획의 정의)]
https://mklab-co.medium.com/%EB%B9%84%EC%A6%88%EB%8B%88%EC%8A%A4-%EA%B8%B0%ED%9A%8D-%EC%84%9C%EB%B9%84%EC%8A%A4-%EA%B8%B0%ED%9A%8D%EC%9D%98-%EC%A0%95%EC%9D%98-27594a1f18ec
반응형

'ETC > 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획] UX/UI Design  (0) 2024.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