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방법론] 수학 및 공학 학습법 Index 1. 수학 학습 2. 공학 학습 3. 프로그래밍 학습 4. 영어 학습 5. 41. 수학 학습수학 공부- 문제를 틀리는 이유는 1) 잘못된 지식을 알고 있거나 2) 개념이 부족한 것 1. 이론적으로 수식이 가지는 의미 파악- 수식의 의미 파악. 기호 의미 파악- 수식을 푸는 방법 연습- 정해진 조건은 무엇인지와 수식의 전개는 어떻게 되는지 숙달 2. 실용적인 문제에 수식을 적용하는 방법 파악- 수식을 정확하게 푼다면 문제를 어떻게 수식으로 표현할 수 있는지 연습- 유형별, 주제별 문제 풀이 3. 문제 풀이- 문제를 풀면서 어떠한 개념이 사용되었는지 생각하면서 풀기- 문제 풀이에 익숙해지면 시간을 정해서 풀기 2. 공학 학습공학 공부- 전기전자 및 컴퓨터 공학에 해당- 이론적인 지식은 전제 조건에.. 2024. 5. 12.
[방법론] 논문 - (2) 논문 작성법 Index 1. 연구 주제 2. 논문 구조 3. 논문 탐색 4. 논문 쓰는 순서 5. ㅇReference1.  연구 주제 연구 주제- 해당 분야에 어떤 난제가 있고 내가 어떤 독창적인 접근법으로 풀어나갈 수 있는지- 연구실의 이전 논문 혹은 관련 분야 리뷰 논문 읽어보기(background 지식 쌓기)- 배경 지식과 논문 연구(실험, 시뮬레이션) 모두 중요 2.  논문 구조논문 구조- (이공계) 논문은 표현의 conciseness(간결성)과 clarity(명료성)이 매우 중요하여 모호한 표현을 사용하지 않음- 수식의 경우 재현할만큼 관심이 있는 경우 자세하게 확인- 논문은 '주어진 문제에 어떤 contribution을 했는지'가 핵심 이공계 논문의 구조나는 이런 문제를 풀거야 (abstract)사실 이 .. 2024. 5. 11.
[방법론] 논문 - (1) 논문 읽는 법 Index 1. 연구 주제 2. 논문 구조 3. 논문 탐색 4. 논문 읽는 순서 5. oReference1.  연구 주제 연구 주제- 해당 분야에 어떤 난제가 있고 내가 어떤 독창적인 접근법으로 풀어나갈 수 있는지- 연구실의 이전 논문 혹은 관련 분야 리뷰 논문 읽어보기(background 지식 쌓기)- 배경 지식과 논문 연구(실험, 시뮬레이션) 모두 중요 2.  논문 구조논문 구조- (이공계) 논문은 표현의 conciseness(간결성)과 clarity(명료성)이 매우 중요하여 모호한 표현을 사용하지 않음- 수식의 경우 재현할만큼 관심이 있는 경우 자세하게 확인- 논문은 '주어진 문제에 어떤 contribution을 했는지'가 핵심 이공계 논문의 구조나는 이런 문제를 풀거야 (abstract)사실 이 .. 2024. 5. 11.
반응형